728x90
반응형
목차
1. 5세대(5G) 스몰셀 소프트웨어(SW) 세계 최우수 기술상 쾌거 (230605)
2. 과기정통부, 2023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13개교 선정 (230607)

1. 5세대(5G) 스몰셀 소프트웨어(SW) 세계 최우수 기술상 쾌거 (230605)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혁신네트워크팀 도하림 사무관(044-202-6426))

230605 조간 (보도) 5세대(5G) 스몰셀 소프트웨어(SW) 세계 최우수 기술상 쾌거.pdf
0.51MB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유캐스트와 18년부터 공동개발한 성과 세계적 인정
  • 과기정통부, 통신네트워크 연구개발(R&D) 성과 점검
 

2. 과기정통부, 2023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13개교 선정 (230607)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소프트웨어정책과 이정숙 사무관(044-202-6326))

230607 조간 (보도) 과기정통부, 2023년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13개교 선정.pdf
0.36MB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월 7일 디지털 전환으로 산업계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소프트웨어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의 23년도 선정 결과를 발표
  • 일반트랙에는 총 36개 대학이 신청하였으며(경쟁률 3.3:1)그 중 경남대, 경희대, 고려대, 군산대, 동국대, 동아대, 부산대, 순천대, 영남대, 연세대, 한동대가 선정됨
  • 특화트랙은 올해 10개 대학이 신청하였고(경쟁률 5:1), 그 중 신한대, 한라대가 선정됨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대한민국을 빛낸 과학기술유공자 대통령명의 증서 수여 (230530)
2. (보도참고) 누리호 3차 발사 중간 분석 결과 (230530)
3. 웹 3.0의 올바른 이해, 구현과 활용 방안 (230531)

1. 대한민국을 빛낸 과학기술유공자 대통령명의 증서 수여 (230530)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미래인재정책과(044-202-4826))

 

 
  • 김성호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Berkeley) 명예교수, 고(故) 공병우 한글문화원장, 고(윤한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전민제 전엔지니어링 대표

김성호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Berkeley) 명예교수

  • 생명현상의 핵심인 단백질 합성과정에 관여하는 생체물질 ‘전달알엔에이(transfer RNA)’의 3차원 구조를 세계 최초로 밝힌 생물학자
  • 정상세포와 암세포에서 ‘라스(Ras)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하고 ‘라스(Ras) 단백질’이 암을 일으키는 원인임을 밝혀 기존 암 연구 및 항암제 개발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고(공병우 한글문화원 원장

  • ‘초성ㆍ중성ㆍ종성’이라는 한글 창제 원리에 맞는 세벌식 한글타자기를 개발한 발명가
  • 한글타자기와 한글 문서편집기를 개발하고 한글문화원을 설립하여 한글의 기계화에 앞장섰다.
  • 또한 대한민국 최초의 안과전문의로서 맹인용 점자타자기와 맹인용 한글 워드프로세서 개발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에도 기여하였다.

 고(윤한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 천연섬유의 생성 원리를 규명하고 이를 적용한 합성섬유를 개발한 섬유화학자
  • 방탄복, 방호복, 고성능 타이어, 광케이블 보강재 등 사회안전 분야에서 필수적인 소재로 사용되는 ‘아라미드 섬유’를 독자 개발하고 국내 생산의 토대를 이루어 산업경쟁력 및 안전한 국민의 삶 제고에 크게 기여하였다.

고(전민제 전엔지니어링 대표

  • 대한민국 정유 및 석유화학 산업을 개척한 엔지니어이자 경영인
  • 대한석유공사 설립과 울산 정유공장 건설을 이끌어 우리나라가 석유화학 강국으로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또한 공장설계 회사인 전엔지니어링과 신한기공을 설립하여 공학기술 수준 향상과 후학 엔지니어 양성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

2. (보도참고) 누리호 3차 발사 중간 분석 결과 (230530)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우주기술과 김미미 서기관(044-202-4644))

 

 

  • 누리호 3차 발사는 높은 정밀도로 성공적으로 완수
  • 초기 데이터 확인 결과 탑재위성 1기는 사출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
  • 차세대소형위성 2는 영상레이다 안테나 전개 후 위성 자세 제어 기능 확인도 완료

3. 웹 3.0의 올바른 이해, 구현과 활용 방안 (230531)

(출처: IITP, 주간기술동향 2094호, 메타퓨전(주) 수석컨설턴트 장세형(070-8849-0033, shjang@metafusion.io))

  • 어떤 상황에서도 통신이 끊이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 이런 목적으로 추진된 프로젝트가 '아르파넷(ARPANET)'
  • 폴 베런(Paul Baran)이라는 과학자는 분산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 아프라넷은 이를 채택
  • 아르파넷은 군사용이었지만 민간 영역으로 이전되어 '인터넷(Internet)'으로 발전
  • 팀 버너스 리: 웹의 창시자, 인터넷을 기반으로 "정보 접근 및 공유" 목적으로 서비스 고민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39호 (230526)
2. 과기정통부, 23년 사이버 모의침투 대응훈련 실시 (230523)
3. 우리 독자기술 누리호 3차 발사, 뉴스페이스 시대 본격 개막 (230525)

1.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39호 (230526)

(출처: S&T GPS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간행물, 239호)

230526_과학기술 ICT 정책 기술 동향_SnT GPS_239_최종.pdf
1.97MB

 

OECD,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에 대한 기술 평가 트렌드 보고서

  • OECD는 정책입안자가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에 대해 적절한 전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술 평가(TA) 트렌드 및 효과적인 설계 원칙 제시*(’23.4)

* Technology Assessment for Emerging Technology : Meeting New Demands for Strategic Intelligence

 

구글, 차세대 LLM 'PaLM 2' 공개 (더버지 / 2023.5.11.)

- 구글은 연례 개발자 회의(I/O)에서 차세대 대규모 언어 모델(LLM) ‘PaLM 2(Pathways Language Model)’ 공개

  • PaLM 2는 2022년 공개된 PaLM의 새로운 버전으로 수학적 표현과 대량의 수학 및 과학 텍스트를 모델에 학습시켜 상식적인 추론, 수학, 논리 등에서 더 우수한 점이 특징
  • 오픈AI의 GPT-4는 자연어 모델이기 때문에 수학 텍스트 추론에 약점을 드러내는 반면, PaLM 2는 수학 퍼즐을 풀고,
    문제 내용을 추론해 다이어그램도 생성 가능
  • 또한, 자바스크립트・파이썬 등의 언어 외에 Prolog・ Verilog・포트란 등 20개 개발언어를 학습하여 코드 작성과 디버깅 기능 지원 역량도 향상
  • 이 외에도 100개 이상의 언어를 학습하여 이전 모델보다 더 미묘한 문구를 포함한 다국어 작업에 특화

2. 과기정통부, 23년 사이버 모의침투 대응훈련 실시 (230523)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정보보호담당관 진영민 주무관(044-202-4487))

230524 조간 (보도) 과기정통부, 23년 사이버 모의침투 대응훈련 실시.pdf
0.26MB

  • 과기정통부착한 해커(화이트해커)와 함께 소속‧산하기관(65)대상 사이버 모의침투 훈련 실시(5월~10월)
  • 실제 사이버공격과 유사한 각본(시나리오)으로 공격을 수행하고 방어하는 훈련
  • 정보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확인하고 조치함으로써 소속‧산하기관의 위기대응 능력을 강화

3. 우리 독자기술 누리호 3차 발사, 뉴스페이스 시대 본격 개막 (230525)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우주기술과 김미미 서기관(044-202-4644))

  • 누리호의 비행 성능 검증 확인으로 누리호의 신뢰성 높아져
  • 오늘 18시 24분 정각에 발사한 누리호가 비행을 종료한 뒤항우연은 발사체 비행 정보를 담고 있는 누리호 원격수신정보(텔레메트리)를 초기 분석한 결과누리호가 목표 궤도에 투입되어 차세대소형위성 2를 성공적으로 분리·안착시켰음을 확인
  • 지난 해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에 이어 오늘 3차 발사 성공
  • 누리호의 신뢰성 향상과 함께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여 자주적인 국가 우주개발 역량을 갖추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38호 (230512)
2. 보이스피싱 앱 및 통화 하이재킹 탐지 기술 (230517)
3. 과기정통부, '23년도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 4개 대학 신규 선정 (230517)
4. '23년 4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230515)

1.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38호 (230512)

(출처: S&T GPS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간행물, 238호)

미국, 적대적 머신러닝 및 사이버 보안 관련 보고서 발표

  • 조지타운대학 안보유망기술센터(CSET)는 인공지능 시스템의 적대적 머신러닝* 및 사이버 보안 취약성 및 향후 개선을 위한 권장사항을 제시한 보고서 발표**(’23.4.)

* 인공지능 시스템 공격자가 일부 데이터를 조작하여 인공지능 모델이 잘못된 결론 내리도록 만드는 기술
** Adversarial Machine Learning and Cybersecurity : Risks, Challenges, and Legal Implications

 

AI 취약성에 대한 기존 사이버 보안의 확장

‘AI 취약성’은 AI 모델의 수학적 특징을 악용하는 취약성과 전체 AI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와 AI 모델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취약성을 모두 포함하며, 기존 소프트웨어 취약성과 다른 특징을 가짐
① AI 취약성은 일반적으로 훈련 데이터와 알고리즘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에서 비롯하기 때문에 특정 유형의 취약성은 학습에 사용되는 특정 데이터셋에 크게 의존하며, 모델 자체를 완전히 학습시키기 전에는 예측 또는 완화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존재
② AI 모델의 취약성을 “패치(수리)” 하려면 상당한 비용을 들여 모델을 재학습시키거나 또는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재학습 과정에서 전반적인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도 있음
③ AI 취약성은 일시적일 수 있어(예 : 훈련을 반복하는 모델의 경우, 새로운 데이터로 자주 업데이트됨) 공격 및 완화 방법이 모든 모델 버전에 따라 일관되지 않을 수 있음
④ 인공지능 시스템에서 “취약성”이 무엇인지 불확실함(예 : 안면 인식 시스템에 선글라스를 착용하여 인식을 어렵게 만드는 것은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것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2. 보이스피싱 앱 및 통화 하이재킹 탐지 기술 (230517)

(출처: ITFIND, 주간기술동향 2092호, 성균관대학교 김형식 교수(031-299-4324, hyoung@skku.edu))

 

 

  • 휴대폰 단말 내 악성 앱 탐지 기술 개발
  • 보이스 피싱 통화 개입 및 저지 기술 개발
  • 사용자의 보이스피싱 의심 징후에 대한 효과적 경고 및 관련 정보 신고 및 공유 시스템 개발
기술개념도

국내 기술 동향

  • 후후앤컴퍼니는 IBK기업은행과 이상 탐지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솔루션을 제안
  • 금감원에서 수집된 1,500~2,000명의 보이스피싱 범인 목소리를 공유받아 학습에 사용
  • 아이넷캅에서 개발한 안드로이드 악성 앱 탐지 기술로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악성 앱을 탐지하는 기술, 자체 수집하고 분석한 데이터들로 악성코드 관련 빅데이터 축적. Av-test, Av-comparatives, MRG-Effitas 등 해외 유수의 평가기관에서 인증 획득
  • 한양대학교에서는 2010년 수신되는 통화의 코덱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한 보이스피싱 탐지 기법을 제안

국외 기술 동향

  • Avast, Bitdefender, Sophos 등 해외 여러 기업들이 자체 안드로이드 안티바이러스 제품을 운영
  • 미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ion: FCC)는 2020년 STIR/SHAKEN이라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Caller ID 정보를 단말기 회사들로부터 인증을 받아 Caller ID 스푸핑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솔루션을 제안

기대효과

  • 금융감독원에 의하면 2021년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845억 원. 따라서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안드로이드 보이스피싱 앱 탐지 기술 및 사용자 경고시스템은 사용자들이 노출될 수 있는 보이스피싱 사고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국민의 금전적 손실과 이를 방지하려는 국가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본 과제에서 제시하는 사용자 멘탈 모델 기반 보이스피싱 경고 시스템은 사용자가 스스로 보이스피싱을 효과적으로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전자금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
  • 보안 업계는 업무 효율의 상승과 비용 절감이 되어 전반적인 산업구조를 개선하고 해당 기술을 통한 국가의 시장 경쟁력을 확보
 

3. 과기정통부, '23년도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 4개 대학 신규 선정 (230517)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소프트웨어정책과 이정숙 사무관(044-202-6326))

 

  • 총 17 대학이 신청(경쟁률 4.25:1)하였으며선정평가 결과 동국대, 부산대, 아주대, 전남대가 최종 선정
  •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 사업은 기업이 직접 교육과정 설계 및 강의동연구 등에 참여
  • 대학 기업과 협력하여 산·학 공동 인공지능융합프로젝트를 통해 기업이 당면한 현안 해결을 지원하는 형태로 추진

 


4. '23년 4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230515)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정보통신산업정책과 김미정 주무관(044-202-6228))

230516 조간 (보도) '23년 4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pdf
1.39MB

  • 수출은 127.7억불, 수입은 104.4억불, 무역수지는 23.3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0.5% 감소한 64.8억불로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ICT 기기 수요 약화 및 메모리 단가 하락 등으로 9개월 연속 감소
  • 국내 LCD 생산 축소의 영향 및 전방기기 수요 둔화로 인한 OLED 부진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5% 감소한 14.3억불 기록
  • 글로벌 기기 수요 둔화에 따른 완제품 수출 감소주요 생산업체의 부품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체 휴대폰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1.6% 감소한 8.1억불 기록
  •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은 글로벌 경기 약화로 인한 소비심리 둔화로 전년 동월 대비 66.7% 감소한 5.9억불로 10개월 연속 감소 기록
  • 5G 통신 인프라 확대 지역(인도(0.2억불, 380.3%)은 일부 증가했으나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4.7% 감소한 2.0억불 기록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양자 치환 구현 시스템 (230510)
2. 양자경제를 향한 산학연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한 제2회 양자과학기술 최고위 전략대화 개최 (230510)
3. 주요 정보통신사업자 사이버 보안체계 점검 및 역량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230509)
4. 과기정통부, 에스케이티(SKT)에 5세대(5G) 28GHz 대역 할당 취소 사전 통지 (230512)

1. 양자 치환 구현 시스템 (230510)

(출처: ITFIND, 주간기술동향 2091호, 서울대학교 김태현 교수(02-880-1725, taehyun@snu.ac.kr))

230510_IITP 양자 치환 구현 시스템.pdf
0.28MB

  • 목적: 장거리에서 떨어진 양자 노드 간의 양자 암호 통신이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양자 인터넷 및 양자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양자 리피터 구현에 필수적인 양자 치환 시스템 개발

중계 양자 노드를 이용한 서로 떨어진 양자 노드 사이의 양자 얽힘 치환 개념도

  • 단거리 및 장거리에서 두 171Yb 이온 간의 양자 원격 이동 기술
  • 3개 노드 양자 치환 기술

2. 양자경제를 향한 산학연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한 제2회 양자과학기술 최고위 전략대화 개최 (230510)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양자기술개발지원과 우명순 서기관(044-202-6872))

230511 조간 (보도) 양자경제를 향한 산학연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한 제2회 양자과학기술 최고위 전략대화 개최.pdf
0.88MB

  • 중장기 양자과학기술 발전 방향과 한-미 양자협력 후속조치 등 논의
  • 국내 두 번째 양자대학원으로 "카이스트" 협력체(컨소시엄) 선정
  • 산업계가 참여하여 양자컴퓨터 활용 연구, 첨단 양자감지기(센서) 개발도 본격 추진

 

 
 

3. 주요 정보통신사업자 사이버 보안체계 점검 및 역량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230509)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사이버침해대응과 정준환 사무관(044-202-6465))

230510 조간 (보도) 주요 정보통신사업자 사이버 보안체계 점검 및 역량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pdf
0.52MB

주요 정보통신사업자 사이버 보안체계 점검 및 역량 강화 방안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 박윤규 제2차관은 5월 9일(화) 케이티(KT) 과천타워에서 주요 정보통신사업자(ISP),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 전문가, 유관기관 등과 함께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연속 현장 간담회(제1차*)를 개최하였다.

* ISP 보안 대응체계 점검, R&D 방향, 제로트러스트 도입 등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주제별 연속 현장 간담회 개최 예정(5월~6월, 약 5회)

개요

  • (일시/장소) ’23. 5. 9. 14:00~15:30 / KT 과천타워(보안관제센터 보유)
  • (참석자)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인 주요 정보통신사업자(6),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2), 전문가(3), 유관기관, 과기정통부 제2차관 등 17명
  • (주요내용) “주요 사이버공격 분석 및 대응 사례”, “사이버보안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대응 방향” 주제발표 후, 자유토론
  • 디지털 블랙아웃 예방 위해 주요 사업자의 사이버 보안체계 확인 점검
  • 디지털 핵심 기반 '인터넷 서비스' 사이버 보안체계 고도화 방안 논의

4. 과기정통부, 에스케이티(SKT)에 5세대(5G) 28GHz 대역 할당취소 사전 통지 (230512)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전파기반과 김인 사무관(044-202-4957))

230512 즉시 (보도) 과기정통부, 에스케이티(SKT)에 5세대(5G) 28GHz 대역 할당취소 사전 통지.pdf
0.24MB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이하 ‘과기정통부’)는 에스케이티(SKT)에 대해 5세대(5G) 28㎓ 주파수 종료시점 이행점검을 실시하고 할당취소 처분을 사전 통지
  • 지난해 12월 23과기정통부는 2018년 5세대(5G) 주파수 할당 시 부과받은 조건을 이행하지 못한 에스케이티(SKT)에 대해 28㎓ 주파수 이용기간을 10% 단축(5→4년 6개월)하고이용기간이 종료되는 23.5.31까지 당초 할당 조건 15,000 장치를 구축하지 못할 경우 할당이 취소됨을 최종 통지한 바 있음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37호 (230428)
2. 디지털 자동화 기술로 빨라지는 대민 업무 (230509)
3. 2023 개인정보보호 동향 보고서 VOL4(제4호) (230503)

1.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37호 (230428)

(출처: S&T GPS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간행물, 237호)

 

 

  • 미국, IoT를 위한 사이버 보안 보고서 발표
  • 맥킨지앤컴퍼니는 전 세계 기업의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IoT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IoT를 위한 사이버 보안 보고서’ 발표*(’23.4.)
    * Cybersecurity for the IoT : How trust can unlock value
  • 모든 분야의 IoT 솔루션 공급업체 및 구매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IoT 도입의 주요 장애 요인을 ‘사이버 보안’(32%)과 ‘상호 운용성’(26%)으로 응답
  • ‘사이버 보안’을 선택한 응답자의 약 40%는 사이버 보안 문제가 해결될 경우, IoT 예산 및 배포를 25% 이상 늘릴 의향이 있는 것으로 응답
IoT 도입의 주요 장애 요인(%)

2. 디지털 자동화 기술로 빨라지는 대민 업무 (230509)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디지털사회기획과 유은실 사무관(044-202-6131))

230509 조간 (보도) 디지털 자동화 기술로 빨라지는 대민 업무.pdf
1.38MB

 

 

3. 2023 개인정보보호 동향 보고서 VOL4(제4호) (230503)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디지털사회기획과 유은실 사무관(044-202-6131))

[제4호(1)] 2023년 주요 개인정보보호 서베이 보고서 분석
1. 개요
2. 조직/개인 개인정보보호 관련 서베이
   (1) CISCO - 개인 정보 보호 벤치마크 연구
   (2) AAG - 2023년 사이버 범죄 통계 조사
   (3) Aspen Institute- 소비자 개인정보보호 준비 보고서
3. 개인정보보호 법규 관련 서베이
   (1) Norton Rose Fulbright - 연간 소송 보고서
   (2)  Gartner - 마케팅 리더 설문조사
   (3)  DLA Piper- GDPR(개인정보보호 규정) 벌금 및 데이터 유출

[제4호(2)] ChatGPT의 등장과 주요국의 개인정보보호 규제 동향
1. 생성형 AI와 ChatGPT
   (1) 생성형 AI의 개념과 특징
   (2) 생성형 AI의 장·단점
   (3) ChatGPT의 등장
2. ChatGPT에 대한 주요국의 개인정보보호 규제 동향
   (1) 주요국의 ChatGPT 사용금지 검토
   (2) OpenAI의 대응
   (3) 주요국의 AI 규제를 위한 법안 마련
3. 요약 및 시사점
   (1) 요약
   (2) 시사점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프리다(Frida)란?
2. 프리다의 주요 기능
3. 프리다 환경 구축
  - 녹스(Nox) 앱플레이어 설치
  - 아나콘다 파이썬 환경 구축
  - 프리다 설치 및 실행
4. 프리다 기능 살펴보기

  - 기본 명령어 활용(Frida CLI 이해)
  - 기본 명령어 활용(프로세스, 트레이스, 디바이스 제어)
  - 기본 명령어 활용(프로세스 중지)
5. 프리다 기본 문법
  - Java.perform(fn)

  - Java.use(className)
  - Java.choose(className, callbacks)
  - Java.enumerateLoadedClasses(callbacks)
  - setImmediate(fn)
  - Overloading
-
프리다 CLI 활용
자바스크립트 파일 사용
파이썬 바인딩 이해
프리다 챌린지로 연습해보기
프리다 실무 활용

5. 프리다 기본 문법

Java.perform(fn)

Java.use(className)

Java.enumerateLoadedClasses(callbacks)

Java.choose(className, callbacks)

setImmediate(fn)

Overloading

 

기본 뼈대 구조

Java.perform(fn)

  • 현재 스레드가 가상머신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fn을 호출

- Java.perform이 실행이 되면 fn 내부로 입력한 코드가 지정한 앱애 접근하여 실행하게 됨

Java.perform(function() {
/*
	...
    do sth
    ...
*/
})

Java.use(className)

  • Java.use ()는 변수와 메소드에 액세스 할 수 있는 클래스 객체를 반환
  • 메소드 구현을 변경하려면 새로운 메소드로 덮어 써야 함
  • 인스턴스를 반환하는 것이 아닌 클래스 객체를 반환함

- className 클래스를 사용하겠다고 선언

- 인스턴스를 다루기 위해서는 Java.choose라는 API를 사용해야 함

  • 앱에서 사용하는 클래스와 연동되는 myClass를 정의
  • .implementation: 앱에서 정의된 메소드의 구현 내용을 재작성
Java.perform(function() {
	var myClass = Java.use(com.mypackage.name.class)
    
    myClass.myMethod.implementation = function(param) {
    	// do sth
    }
}

myClass 내 myMethod 메소드를 다룸, implementation를 하여 myMethod를 재작성하여 진단자 마음대로 해당 메소드를 재작성

위의 코드는 parameter가 하나인 경우, 인자값이 두 개 이상이라면 function(p1, p2)로 기재


Java.choose(className, callbacks)

  • Java.choose(className, callbacks)
  • 힙에서 인스턴스화 된 객체 찾기 가능
  • callbacks: onMatch, onComplete
  • onMatch: 실시간으로 인스턴스에 대해 호출
  • onComplete: function()의 모든 인스턴스가 열거될 때 호출
Java.perform(function() {
	Java.choose(com.mypackage.name.class, {
    	"onMatch": function(instance) {
        	console.log(instance.toString())
        },
        "onComplete": function() {}
    })
})

Java.perform: 가상머신 연결 확인

Java.choose: com.mypackage.name.class라는 클래스를 지정하고, 해당 클래스에 대한 인스턴스(instance) 객체로 받게 됨

onMatch는 Frida가 요청에 일치하는 것을 찾으면 하나 이상의 인수로 호출됨

console.log라는 함수를 통해 해당 인스턴스를 문자열 값(toString)으로 주게 됨 -> 찾은 인스턴스에 대한 값이 콘솔로 출력됨

모든 출력을 마치면(일치하는 것을 모두 찾으면) onComplete 사용 -> Java.choose 사용


Java.enumerateLoadedClasses(callbacks)

  • 로드된 모든 클래스를 열거하고 모든 일치 항목을 출력
  • onMatch: 일치하는 것을 찾으면 호출
  • onComplete: 가능한 일치(Match)를 모두 마치면 사용됨
Java.perform(function() {
	Java.enumerateLoadedClasses( {
    	"onMatch": function(className) {
        	console.log(className)
        },
        "onComplete": function() {}
    })
})

setImmediate(fn)

  • Process terminated 오류 해결하기
setImmediate(function() {	// prevent timeout
	console.log("[*] Starting script");
    
    Java.perform(function() {
    	myClass = Java.use("com.packagen.name.class.name");
        myClass.implementation = function(v) {
        	// do sth.
	}
})})

 

메소드 구현을 재작성할 때 유의 (다형성)

만약 다음과 같이 세 가지의 경우는 어떻게 처리할까? overload() 제공

  • 첫 번째, 입력받는 인수가 없는 메소드
  • 두 번째, 두 개의 바이트 배열을 인수로 입력받는 메소드
  • 세 번째, 앱의 context와 Boolean 형태의 인수로 입력받는 메소드
// 1) 입력받는 인수가 없는 메소드
myClass.myMethod.overload().implementation = function() {
	// do sth
}

// 2) 두 개의 바이트 배열을 인수로 입력받는 메소드
myClass.myMethod.overload("[B", "[B").implementation = function(param1, param2) {
	// do sth
}

// 3) 앱의 context와 Boolean 형태의 인수로 입력받는 메소드
myClass.myMethod.overload("android.context.Context", "boolean").implementation = function(param1, param2) {
	// do sth
}

Overloading

overload() 매개변수 카테고리

.overload()

.overload('int')

.overload('float')

.overload('[B') // byte array

.overload('[B', '[B', '[B')

.overload('java.io.File')

.overload('java.lang.String')

.overload('android.view.View')

.overload('android.app.Activity')

.overload('android.content.Context')

.overload('android.content.Context', 'java.lang.String')

.overload('java.lang.String', 'java.lang.String')

.overload('android.graphics.Bitmap')

.overload('java.util.List')

.overload('android.content.Context', 'java.lang.String', 'java.lang.String')

.overload('android.app.Activity', 'int', 'int', 'int', 'boolean')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2023년도 소프트웨어(SW) 스타랩 신규 선정 (230424)
2. 연령·구간별 세분화, 청년 혜택을 강화한 KT의 5G 요금제 신설 신고 (230426)
3. LGU+ 침해사고 관련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 및 시정조치 요구 (230427)
4. [보도참고] 한미 정상회담, 양자(Quantum) 과학기술 선도국가 도약의 발판 마련 (230427)
5. [보도참고] 윤석열 대통령-해리스 부통령, 한-미 우주협력 강화 약속 (230426)

1. 2023년도 소프트웨어(SW) 스타랩 신규 선정 (230424)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소프트웨어정책관 소프트웨어인재정책팀 윤용수 사무관(044-202-6323), 백병수 팀장(044-202-6315))

230425 조간 (보도) 2023년도 소프트웨어(SW) 스타랩 신규 선정.pdf
0.33MB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도 소프트웨어 스타랩(이하 SW스타랩)에 최종 선정된 소프트웨어 연구실을 발표함
  • SW스타랩은 소프트웨어 핵심기술 분야*의 원천기술 확보와 함께 소프트웨어 혁신을 주도할 석·박사급 소프트웨어 인재를 양성하는 사업임
  • 대학 연구실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를 제안 받아 글로벌 수준의 연구성과 창출이 가능한 우수 연구실을 선정하고 있으며, 성과에 따라 연 3억원씩 최대 8년(4+2+2년)간 연구를 지원함

* (공모분야) 클라우드, 인공지능, 빅데이터, 알고리즘, 응용SW

올해 SW스타랩 사업 공모 선정 연구실(20개의 연구실 신청 - 경쟁률 6.7:1)

  • 클라우드 분야 고려대학교 네트워크연구실(이원준 교수)
  • 인공지능 분야 한국과학기술원 뇌기계지능연구실(이상완 교수)
  • 알고리즘 분야 한국과학기술원 가변영상·비디오·로봇공학 연구실(윤성의 교수)

< SW스타랩 선정 결과 및 주요 연구내용 >

분 야 연구책임자 주요 연구내용
클라우드 고려대
이원준 교수
 다계층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지향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인공지능 KAIST
이상완 교수
 뇌의 고위수준 학습 방식을 모사한 머신러닝 강화학습 핵심기술
알고리즘 KAIST
윤성의 교수
 개방형 환경에서 로봇 서비스를 위한 불특정 환경 인지행동 및 상호작용 알고리즘 개발

<자료> 삼정KPMG 경제연구원

* 대화형 AI 서비스가 IoT와 머신러닝 기술과 맞물려 보편화되고 시장규모 역시 커지고 있음


2. 연령·구간별 세분화, 청년 혜택을 강화한 KT의 5G 요금제 신설 신고 (230426)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통신정책관실 통신이용제도과 이정순 과장(044-202-6650), 위재승 사무관(044-202-6655))

(일반) 30~110GB 사이 구간 3종(50, 70, 90GB) 신설, 신속한 도매제공을 통해 6월 23일부터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도 출시
(청년) 일반요금제에 가입한 청년에게는 별도 신청 없이 데이터 제공량을 2배 확대
(시니어) 만 65세 이상 이용자를 위한 요금제 신설, '안심박스' 부가 서비스 기본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이하‘과기정통부’)는 4월 25(케이티(KT)에서 5세대 이동통신(5G) 요금 12종을 신설하는 내용을 담은 이용약관을 신고 하였다고 밝힘
  • 이용자들의 통신요금 선택권을 확대하고 통신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통신사들과 요금제 다양화 협의를 진행해 옴
  • SKT(3월 23일)와 LG U+ (4월 10일)에 이어 KT도 이용자의 연령별ㆍ구간별 특성을 반영하고 혜택을 강화한 요금제를 신설하기로 함

< 5G 일반ㆍ온라인 요금제를 이용하는 모든 청년 가입자에게 2배의 데이터 제공 예시 >

요금제명 월정액(선택약정 적용 시) 데이터 제공량
5G세이브 45,000원(33,750원) 5GB → 10GB
5G슬림 55,000원(41,250원) 10GB → 20GB
5G슬림플러스 61,000원(45,750원) 30GB → 60GB
5G심플 50GB 63,000원(47,250원) 50GB → 100GB
5G심플 70GB 65,000원(48,750원) 70GB → 140GB
5G심플 90GB 67,000원(50,250원) 90GB → 180GB
5G심플 110GB 69,000원(51,750원) 110GB → 220GB
요금제명 월정액 데이터 제공량
5G다이렉트34 34,000원 8GB  16GB
5G다이렉트37 37,000원 11GB → 22GB
5G다이렉트44 44,000 30GB → 60GB
5G다이렉트46 46,000 80GB → 160GB
5G다이렉트49 49,000 120GB → 240GB
5G다이렉트55 55,000 200GB → 400GB

 ※ 노란색 배경: 신설되는 요금제


3. LGU+ 침해사고 관련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 및 시정조치 요구 (230427)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사이버침해대응과 허진우 과장(044-202-6460), 김승열 사무관(044-202-6461))

230427 석간 (보도) LGU+ 침해사고 관련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 및 시정조치 요구.pdf
0.86MB

(고객정보유출) 고객인증 시스템에 취약점(암호, DB접근제어 미흡 등), 대용량 데이터 이동 등 실시간 탐지체계 부재 등을 원인으로 추정

- '18.6월경 생성된 297,117명의 LGU+ 고객 데이터가 고객인증 시스템에서 유출되었을 것으로 추정

(디도스공격) 내부 라우터 장비 외부 노출, 라우터 간 접근제어 정책 미흡, 주요 네트워크 구간에 보안장비 미설치 등으로 접속장애 발생

- 1.29. 3회(총 63분), 2.4. 2회(총 57분), 유선인터넷, VOD, 070전화서비스 접속 장애 발생

(공통) 정보보호 인력 및 조직 부족, 상대적으로 저조한 정보보호 투자

- '22년 통신사 정보보호 투자액(정보통신 투자액 대비 정보보호 비중 및 인력)

- KT 1,021억원(5.2%, 336명) / SKT(+SKB) 860억원(3.9%, 305명) / LGU+ 292억원(3.7%, 91명)

(기술적 조치방안) 분기별 보안 취약점 점검·제거,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및 IT자산 통합 관리 시스템 개발·구축, 보안장비(IPS 등) 구축·점검

(관리적 조치방안) 정보보호 인력·예산을 타사 수준까지 확대, CEO 직속 정보보호 조직 구성, 맞춤형 모의훈련 및 C레벨 포함 보안 필수교육

유출대상 시스템과 유출규모 확인

<LGU+ 주요 고객정보 처리시스템 개요도>

※ 고객인증 DB 시스템의 구성요소

 ○ 인증처리 서버 : 부가 서비스의 고객인증을 처리하는 서버

 ○ 인증관리 서버 인증처리 서비스의 설정(서비스 신규 생성 및 수정 등)을 관리하는 서버

 ○ 인증 DB : 전체회원 DB를 이용하여 실시간 동기화하여 운영 중인 DB

 

  • 과기정통부와 KISA는 유출데이터의 컬럼, 데이터 내용 등이 위 3개 DB 시스템과 연관된 것으로 보고 해당 시스템들을 대상으로 사고원인 분석을 진행함
  • 유출데이터의 컬럼명(26개)과 3개 DB 각각의 컬럼명의 일치 또는 유사성 등을 분석
  • 동일 컬럼명 22개, 유사 컬럼명 3개로 컬럼명이 가장 일치(혹은 유사)한 시스템은 ‘고객인증 DB’였음
  • 유출규모와 관련하여서는, LGU+가 확보한 60만건(1.2.) 중에 동일인에 대한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여 총 296,477명의 데이터를 확인
  • LGU+가 해커로부터 추가로 확보한 이미지로 된 데이터*에서 기존 60만건(1.2.)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고객정보 1,039명을 추가로 확인

→ 모든 확보 데이터를 3개 DB 시스템의 현재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297,117명의 고객정보(399명은 확인이 불가능)가 유출되었음을 확인

고객 데이터의 유출시점 추정

  • '고객정보 변경시간(UPDATE_DTIME)' 컬럼 값을 근거로 유출 시점을 판단
  • 관련 시스템의 로그가 남아있지 않아 특정하기 어려움
  • 유출데이터의 마지막 업데이트는 2018년 6월 15일 03시 58분으로 해당 시점 직후 유출 파일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됨

유출 경로 파악

  • 당시 고객인증 DB 시스템의 웹 관리자 계정 암호가 시스템 초기 암호로 설정되어 있었음
  • 시스템에 웹취약점이 있어 해당 관리자 계정으로 악성코드(웹셸*)를 설치할 수 있었음
  • 관리자의 DB접근제어 등 인증체계가 미흡하여 해커가 웹셸을 이용하여 파일을 유출해나갈 수 있었음

* 웹셸: 해커가 원격에서 공격 대상 웹서버에 명령을 실행하는 방식의 공격방법

< 고객인증 시스템을 통한 유출 경로 시나리오 >

유출데이터를 악용한 2차 피해 가능성 판단

  • 고객정보 유출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는 스미싱, 이메일 피싱, 불법로그인, 유심(USIM) 복제 등의 가능성
  • 불법로그인: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어 있음 / USIM 복제: 실제 USIM의 개인키가 있어야 함 → 피해 발생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됨

◇ 디도스 공격으로 인한 LGU+의 피해 현황과 공격 특징피해 발생원인 파악

  • (1단계) LGU+ 대상 디도스 공격 발생 및 피해 현황 파악
  • (2단계) 디도스 공격 특징 및 유형 파악
  • (3단계) LGU+ 피해발생 원인 파악

디도스 공격 발생 및 피해 현황

LGU+ 광대역데이터망의 주요 라우터에 대한 디도스 공격으로 1.29.()과 2.4.()에 5회에 걸쳐총 120분 간 LGU+의 유선인터넷, VOD, 070전화 서비스에 장애 발생함

 G/W(GateWay Router) : 해외↔국내 네트워크 트래픽의 상호교환 역할수행 라우터
② Core Router : 네트워크 중심에서 트래픽을 빠르게 처리하는 고성능 라우터
③ IX(Internet eXchange) :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간 데이터 트래픽을 교환하는 장비
④ BB(BackBone Router) : 대규모 트래픽 전송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네트워크 장비
⑤ Edge Router : 네트워크 가장자리(Edge)에서 가입자망과 연결된 라우터
  • 공격자는 1월 29일에 3회 총 63분 동안 해외 및 국내 타 통신사와 연동구간(Internet eXchange)의 주요 네트워크 장비 14대(게이트웨이 3대, 라우터 11대)를 대상으로 디도스 공격을 함
  • 이에 따라 전국 대부분에 서비스 장애가 발생함

< 디도스 공격으로 인한 피해현황 >

구분 1차 피해 2차 피해 3차 피해 4차 피해 5차 피해
공격시간 2023-01-29
02:56~03:15
(19)
2023-01-29
05:43~06:05
(22)
2023-01-29
17:58~18:20
(22)
2023-02-04
16:57~17:40
(43)
2023-02-04
18:07~18:21
(14)
공격규모
(최대트래픽)
7Mpps* 5.7Mpps 7.4Mpps 4Mpps 21.2Mpps
공격대상 광대역데이터망
(유선망 코어라우터, 국제망 게이트웨이)
광대역데이터망
(유선망 지역 라우터)
공격 IP 변조된 공격IP로 확인 불가
공격유형 Syn Flooding
피해내역 유선 인터넷망과 IPTV, VOD, 070전화 서비스 불가 및 지연
※ 무선/음성(LTE,5G)는 별도 망으로 피해 없었음

 * PPS(Packet Per Second) : 초당 패킷(Packet) 수를 지칭

디도스 공격 특징 및 유형

  • 공격자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사의 라우터 장비를 대상으로 공격을 시도하여 네트워크 장애를 유발시킴
  • 라우터 장비에 다량의 비정상 패킷이 유입되었고 CPU 이용률이 대폭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어 이번 디도스 공격은 자원 소진 공격 유형으로 분석됨
  • 공격자가 ‘Syn Flooding’기법**을 활용하여 공격 대상 라우터의 과부하를 유발함

 평균 CPU 이용률은 20% 미만이나공격 피해 당시 6090%까지 34배 이상 증가

 ** 공격자 측이 통신 연결 요청 패킷인 Syn을 지속적으로 공격 대상에 보내고 공격 대상이 회신하는 Ack에는 응답하지 않아공격 대상 시스템이 통신 연결을 계속 대기하게 만들고 자원을 소모하게 만드는 공격기법


4. [보도참고] 한미 정상회담, 양자(Quantum) 과학기술 선도국가 도약의 발판 마련 (230427)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양자기술개발지원과 전석남 사무관(044-202-6874))

230427 즉시 (보도참고) 한미 정상회담, 양자(Quantum) 과학기술 선도국가 도약의 발판 마련.pdf
0.49MB

- 한-미 양자정보과학기술 협력 공동성명서 서명

- 한국, 주요국 중심 정부간 양자 다자협의체(2^N vs 2N) 신규 동참

- 한-미 양자과학기술라운드테이블 개최 및 공동연구 프로그램 신설 등 후속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외교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방문을 계기로 미래 국가 핵심전략기술로 주목받는 양자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략적 협력체계와 협력확대 의지를 담은 '한-미 양자정보과학기술 협력 공동성명서' 서명을 통해 양자과학기술 선도국가 도약의 발판을 마련함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아라티 프라바카(Arati Prabhakar)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 실장은 4월 25일 (화) 백악관(미국 워싱턴 디씨)에서 양자정보과학기술 협력 공동성명서에 서명함

< 공동성명 주요 내용 >

 ⦁ -미는 공동의 가치와 동맹을 바탕으로 양국 국민들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양자정보과학기술(QIST) 분야 협력 추진

 ⦁ 정부‧학계‧민간 부문 간 교류를 촉진하고, 민간 부문과 산업 컨소시엄을 참여시켜  신뢰받는 글로벌 시장‧공급망 구축 

 ⦁ 양국은 국제적 공조가 중요한 규제, 표준화 등을 논의할 양자 및 다자 간 기회를 창출하고 인력교류, 공동연구 기반 인력양성 도모


5. [보도참고] 윤석열 대통령-해리스 부통령, 한-미 우주협력 강화 약속 (230426)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거대공공연구정책과 박수진 사무관(044-202-4670))

230426 즉시 (보도참고) 윤석열 대통령-해리스 부통령, 한-미 우주협력 강화 약속.pdf
0.71MB

- 윤 대통령,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방문

- 과기정통부-NASA, 우주탐사 및 우주과학 협력 공동성명서 서명

(달 탐사, 우주의학, 심우주통신 등에 대한 개념연구(Concept Study) 착수키로)

- 한인 NASA 과학자들과 간담회 개최

(한-미 우주협력 강화 및 한국의 우주경제 실현방안 청취)

 

 

728x9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