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목차
1.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37호 (230428)
2. 디지털 자동화 기술로 빨라지는 대민 업무 (230509)
3. 2023 개인정보보호 동향 보고서 VOL4(제4호) (230503)

1.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37호 (230428)

(출처: S&T GPS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간행물, 237호)

 

 

  • 미국, IoT를 위한 사이버 보안 보고서 발표
  • 맥킨지앤컴퍼니는 전 세계 기업의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IoT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IoT를 위한 사이버 보안 보고서’ 발표*(’23.4.)
    * Cybersecurity for the IoT : How trust can unlock value
  • 모든 분야의 IoT 솔루션 공급업체 및 구매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IoT 도입의 주요 장애 요인을 ‘사이버 보안’(32%)과 ‘상호 운용성’(26%)으로 응답
  • ‘사이버 보안’을 선택한 응답자의 약 40%는 사이버 보안 문제가 해결될 경우, IoT 예산 및 배포를 25% 이상 늘릴 의향이 있는 것으로 응답
IoT 도입의 주요 장애 요인(%)

2. 디지털 자동화 기술로 빨라지는 대민 업무 (230509)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디지털사회기획과 유은실 사무관(044-202-6131))

230509 조간 (보도) 디지털 자동화 기술로 빨라지는 대민 업무.pdf
1.38MB

 

 

3. 2023 개인정보보호 동향 보고서 VOL4(제4호) (230503)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디지털사회기획과 유은실 사무관(044-202-6131))

[제4호(1)] 2023년 주요 개인정보보호 서베이 보고서 분석
1. 개요
2. 조직/개인 개인정보보호 관련 서베이
   (1) CISCO - 개인 정보 보호 벤치마크 연구
   (2) AAG - 2023년 사이버 범죄 통계 조사
   (3) Aspen Institute- 소비자 개인정보보호 준비 보고서
3. 개인정보보호 법규 관련 서베이
   (1) Norton Rose Fulbright - 연간 소송 보고서
   (2)  Gartner - 마케팅 리더 설문조사
   (3)  DLA Piper- GDPR(개인정보보호 규정) 벌금 및 데이터 유출

[제4호(2)] ChatGPT의 등장과 주요국의 개인정보보호 규제 동향
1. 생성형 AI와 ChatGPT
   (1) 생성형 AI의 개념과 특징
   (2) 생성형 AI의 장·단점
   (3) ChatGPT의 등장
2. ChatGPT에 대한 주요국의 개인정보보호 규제 동향
   (1) 주요국의 ChatGPT 사용금지 검토
   (2) OpenAI의 대응
   (3) 주요국의 AI 규제를 위한 법안 마련
3. 요약 및 시사점
   (1) 요약
   (2) 시사점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과기정통부, 챗지피티 기본 원리 부내 교육 실시 (230403)
2. 자기지도 학습을 활용한 수학 서술형 문제 풀이 모델 (230405)
3.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35호 (230331)

1. 과기정통부, 챗지피티 기본 원리 부내 교육 실시 (230403)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화담당관 전영철 사무관(044-202-4472))

 
230404 조간 (보도) 과기정통부, 챗지피티 기본 원리 부내 교육 실시.pdf
0.48MB
  • 챗지피티(Chat.GPT)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두 번째 전문가 초빙 특강을 4월 3일에 개최함
  • 지난 1차 특강:  챗지피티를 소개하고 정부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소개
  • 이번 2차 특강: 챗지피티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인공신경망과 같은 심화 학습(딥러닝, Deep Learning) 기술의 이해와 활용사례 중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월 27일(월) 삼성전자와 협력하여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3개 과학기술원에서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
  • 한국과학기술원은 삼성전자와 계약학과(학사급) 기 운영 중('21.11~)

2. 자기지도 학습을 활용한 수학 서술형 문제 풀이 모델 (230405)

(출처: ITFIND 정보통신기획평가원 IITP, 간행물 > 주간기술동향 2086호, 성균관대학교 이종욱 교수(031-299-4329, jongwuklee@skku.edu))

  • 결과물 형태: 한국어 수학 문장형 문제 데이터, 심층 신경망 기반 언어 모델, 개체명 인식을 통한 파서 모델, 자기지도 학습 방법
  • 경쟁기술: 수학 문제와 관련된 풀이과정이 있는 데이터베이스 안에서 검색을 수행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밖에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함
  • 본 기술의 우수성/차별성: 수학 서술형 문제를 입력으로 받아 템플릿 기반의 수식을 생성해냄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문제에 대해서도 서비스를 제공
  • 제품/서비스: 한글 수학 문장형 문제 풀이과정 제공 서비스
  • 제품 및 활용 분야 세부내용: 서비스 사용자가 입력하는 한글 수학 문장형 문제에 대해 풀이 과정을 파이썬 기반의 코드 혹은 수식으로 제공

3.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35호 (230331)

(출처: S&T GPS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간행물, 235호)

OECD.AI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포함한 20개 분야

 

  • AI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제기구들의 움직임: OPEN.AI 정책 관측소
  • OECD.AI가 현재 제공하는 분야를 살펴보면 2016년부터 구분 영역이 변화하는 과정을 거침
  • 교육의 경우에는 운송, 농업, 금융, 건강, 환경과 함께 그 구분 영역과 명칭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관련 정보를 서비스함

[그림 3] 한국 포함 주요국 AI 관련 사업 투자금액(Cumulative, 단위: USD millions)
[그림 4] 한국 포함 주요국 AI 관련 사업 투자금액(Log Scale, 단위: USD millions)

  • OECD.AI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살펴본 한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AI 투자 현황
  • 한국을 비롯한 주요국(미국, 영국, 일본, 중국)의 AI 관련 사업 투자 현황을 확인하면 [그림 3]과 같이 2012년부터 지속적으로 그 투자액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음
  • 특히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2020년부터는 그 투자액이 급격히 상승함
  • 2012년부터 2022년까지의 절대적인 투자금액을 비교해 보면, 미국이 압도적으로 높고, 중국, 영국, 일본, 한국 순으로 AI 관련 사업에 투자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음
  • 다만 Cumulative 방식([그림 3])이 아닌 Log Scale([그림 4])로 투자액을 확인해 보면, 2022년에는 한국이 일본보다 AI 관련 사업에 더 많이 투자했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음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케이-네트워크 (K-Network) 2030 전략 발표 (230227)
2. ICT 규제샌드박스 운영성과 점검 및 성과분석 (230227)
3.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32호 (230217)

1. 케이-네트워크 (K-Network) 2030 전략 발표 (230227)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네트워크정책과 최성준 과장(044-202-6420), 황원준 사무관(044-202-6423))

  • 6,253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예타 추진으로 6세대(6G) 기초‧상용 연구 병행26년 프리-6세대(pre-6G) 기술 시연으로 표준 주도권을 확보
  • 저궤도 통신위성 27년 시험 발사30년부터 국방 분야 본격 확산
  • 오픈랜 생태계 본격 조성 위해 핵심장비‧부품기술 개발오픈랜 국제인증체계(K-OTIC) 구축
  • 양자암호통신 공공분야 확산양자내성암호 기술개발‧실증 등 본격화
  • 백본망 속도 4배 향상구내망 광케이블 전면화, 해저케이블 용량 증설
  • 저전력화를 위한 기지국 「인공지능반도체 및 인공지능 기반 전력 최적화 시스템」 적용

산업 생태계 구축

네트워크 장비는 과거 하드웨어(HW) 중심에서 인터넷 기반 자원 공유(클라우드)·소프트웨어(SW) 기술 중심으로 발전

네트워크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중소 네트워크 장비 업체의 취약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

오픈랜(Open-RAN, 개방형 무선접속망) 장비 산업의 성장 생태계를 본격 조성할 계획

네트워크 패러다임 변화

과기정통부는 네트워크 소프트웨어에 대한 시험·검증 및 고도화를 추진하고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크 장비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전문지원체계(가칭 네트워크소프트웨어(SW)하우스)를 ’24년부터 구축·운영

네트워크 소프트웨어(SW)하우스의 역할과 기능


2. ICT 규제샌드박스 운영성과 점검 및 성과분석 (230227)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정보통신정책관 디지털신산업제도과 조민영 과장(044-202-6140), 장완익 사무관(044-202-6113))

  •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ICT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기업들이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빠르게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
  • ICT 규제 샌드박스는 국내의 복잡한 규제환경 아래 새로운 디지털 혁신 기술‧서비스가 시장에 빠르게 출시될 수 있게 돕는 디지털 사회 발전 최전선

3.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32호 (230217)

(출처: S&T GPS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간행물, 232호)

'챗GPT' 신드롬, 초거대 AI 시장은 무한경쟁 촉발

  • 오픈AI가 개발한 GPT-3.5 버전인 챗GPT 등장('22.11)은 초거대 AI가 인간 수준의 능력을 갖출 수 있다는 가능성과 기술 진전을 보여준 신호탄
  • '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첨단 산업분야 중 우리 삶과 산업전반에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할 '10대 혁신기술(Breakthrough Technologies)' 선정

자료: 언론 보도 자료 정리

현재 인기와 관심도를 고려할 때, 검색 시장뿐만 아니라 창작, 미술, 번역, 코딩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 확살

* 챗GPT는 서비스 개시('22.11.30) 5일('22.12.4)만에 사용자 수가 100만 명 이상에 달했고 1월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는 1억 명을 돌파한 것으로 추산(투자은행 UBS, 2.2)

  • 오픈AI는 조만간 상용화 버전인 '챗GPT 플러스'를 월 이용료 20달러에 제공할 예정
  • 미국을 시작으로 다른 국가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해 나갈 계획

자료: 언론 보도 자료 IITP 정리

글로벌 이슈로 부상하며 학계·산업계에서 도입·활용 위한 테스트 한창

  • 스위스 다보스포럼(1.16∼20)에서도 챗GPT와 AI가 중요 주제로 다루어졌고 우리 나라에서도 2023년 업무보고(1.27)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AI ‘챗GPT’를 언급하는 등 화두
  • 금년 다보스 포럼에서 각국 유력 인사들과 오픈AI, MS, 클라우드페어 등 실리콘밸리 주요 대표들은 GPT에 대한 의견과 평가를 공유
  • 윤석열 대통령은 행정안전부 업무보고(1.25)시 챗GPT로 신년사를 써본 경험을 언급하는 등 챗GPT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고조
  • 최근에는 챗GPT가 쓴 글인지를 식별하는 ‘제로GPT’라는 탐지 서비스도 등장

MS·구글 승부 외에도 바이두·네이버 등 국내외 기업 도전장

  • 마이크로소프트·구글 간 챗GPT 경쟁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바이두의 AI 챗봇 출시 예고
  • 네이버의 서치GPT 시범 서비스 등 업계 진출 활발

자료: 언론 보도 자료 정리

국내 AI 스타트업의 챗GPT 도입 현황

 

728x9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