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인터넷: 국제, 국가 그리고 지역 ISP 업체들에 의해 제공되는 백본(backbone) 네트워크의 집합

TCP/IP 프로토콜은 다섯 계층 스택

IEEE 표준

1985년 IEEE의 컴퓨터 공동체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프로젝트 802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LAN 프로토콜인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층의 기능을 규정했다.

IEEE는 데이터링크 층을 LLC(Logical Link Control, 논리 링크 제어)와 MAC(Medium Access Control, 매체 접근 제어)라는 2개의 부계층으로 나누었다.

서로 다른 LAN 프로토콜에 대해  여러 개의 물리층 표준을 제정했다.

프레임 형식

프레임(frame): 이더넷 LAN에서 보내지는 패킷

이더넷 프레임의 구성(7개 필드): 서문(preamble), SFD, DA, SA, 데이터 단위의 길이 또는 유형, 상위 계층 데이터, CRC

이더넷 발전

이더넷(Ethernet): 1976년 제록스사의 Palo Alto 연구센터에서 만들어짐

4세대를 거쳐옴: 표준 이더넷(10Mbps), 고속 이더넷(100Mbps), 기가 비트 이더넷(1Gbps), 10기가비트 이더넷(10Gbps)

 

ATM

비동기 전송 방식(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포럼에서 설계하고 ITU-T에 의해 채택된 셀 중계(cell relay) 프로토콜

ATM은 셀 네트워크(cell network)이다.

- 셀(Cell): 셀 네트워크에서 교환되는 기본적인 데이터 단위가 되는 고정된 크기의 작은 데이터 단위

셀은 다른 셀과 다중화되고 셀 네트워크를 통해 경로를 따라 전달됨

각 셀이 동일한 크기이고 모든 셀이 작음 → 서로 다른 크기의 패킷을 다중화하는 데 필요한 여러 문제를 해결 가능

- 셀 네트워크는 데이터 교환 기본 단위로 셀을 사용, 셀은 작고 고정된 크기의 정보 블록임

비동기 TDM

ATM은 서로 다른 채널로부터 들어오는 셀을 다중화하기 위해 비동기 시간 분할 다중화(Asynchronous Time-Division Multiplexing)를 이용함

ATM 다중화기는 셀을 가지는 입력채널에서 셀이 가지고 있는 슬롯을 채움

 

Reference

Behrouz A. Forouzan (2009), TCP/IP 프로토콜(Protoccol Suite), 4th Edition

 

728x9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