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Pv6 주소는 128비트 또는 16바이트(옥텟) 길이, IPv6 주소 길이는 IPv4 주소 길이의 4배

 

점 10진 표기법

IPv4 주소들과 호환성을 갖기 위해 IPv4 주소들과 같이 점 10진 표기법(dotted-decimal notation)을 사용함

4byte IPv4 주소는 편리하나, 16byte IPv6 주소는 매우 길게 표기된다.

콜론 16진 표기법

colon hexadecimal notation

- 128bit는 각 길이가 2byte인 8개 영역으로 나뉨

- 16진수 표기법에서 2byte는 4개의 16진수로 구성됨

- 32개의 16진수로 구성된 주소는 네 자리마다 하나의 콜론으로 분리됨

 

한 섹션(두 개의 콜론 사이에 4개의 수)에서 앞의 0은 생략

zero compression: 0으로만 구성된 연속된 섹션은 두 개의 콜론으로 대체 - 주소마다 한번만 허용됨

혼합 표기법

콜론 16진 표기법과 점 10진 표기법을 혼합하여 표기

IPv4 주소가 IPv6 주소에 포함되는(가장 오른쪽의 32비트) 전환 기간 동안에 적합함

주소 가장 왼쪽의 모든 96비트가 0인 제로인 경우

::130.24.24.18

 

CIDR 표기법

IPv6는 계층적인 주소 지정을 사용함

내장된 IPv4 주소

IPv4에서 IPv6로 변환되는 동안 호스트는 IPv6에 내장된(embedded) IPv4를 사용할 수 있다.

자동설정

IPv6: 호스트의 자동 설정 (← IPv4: 네트워크 관리자가 라우터와 호스트를 직접 설정)

IPv6는 DHCP를 사용해서 호스트에게 IPv6 주소를 할당할 수도 있지만 호스트가 직접 스스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생성된 링크 로컬 주소가 고유하고 다른 호스트가 같은 링크 로컬 주소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지 확인한다.

 

Reference

Behrouz A. Forouzan (2009), TCP/IP 프로토콜(Protoccol Suite), 4th Edition

 

728x9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