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CAPEX: Capital Expenditures, 자본적 지출

- 미래의 이윤 창출, 가치의 취득을 위해 지출된 투자 과정에서의 비용

- 설비 투자 비용

 

OPEX: Operating Expenditure, 업무지출/운영비용

- 갖춰진 설비를 운영하는 데 드는 제반 비용

-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

 

GRE(Generic Routing Encapsulation)

라우팅이 불가능한 패킷을 라우팅 가능한 패킷의 내부에 넣어서 전송할 때 사용하는 터널링 프로토콜


시스템 점검

방법1) 작업 관리자의 성능 > 리소스 모니터 열기

방법2) cmd > resmon

 

Windows CPU 사용률 확인

cmd > wmic cpu get loadpercentage

cmd > tasklist (작업 목록: 실행 중인 프로세스 및 관련 CPU 사용량 목록)

 

Windows Mem 확인

cmd > wmic os get FreePhysicalMemory

cmd > systeminfo | find "사용 가능한 실제 메모리"

 

Windows Disk 확인

cmd > wmic diskdrive get deviceid, model, size

[윈도우키 + R] diskmgmt.msc

 

Windows 시스템 정보

cmd > msinfo32

 

Linux CPU 사용량 확인

top

glance

 

Linux Mem 확인

vmstat

 

Linux Disk 용량 확인

df (disk free):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 공간 표시, FileSystem / Mounted on

df . : 현재 디렉토리가 포함된 파티션의 남은 용량 확인

du (disk usage): 해당 디렉토리(파일)의 디스크 크기확인 명령어

* 파일 시스템: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 및 접근할 수 있도록 보관 또는 조직하는 체제

* 마운트: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를 특정 위치, 즉 디렉터리에 연결시켜 주는 것

- 보조기억장치나 파일 시스템이 다른 디스크를 /의 하위 디렉터리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명령어

 

crontab

특정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사용(cron table)

시스템에 동작하는 crontab 전체 목록 조회: /etc/crontab 파일 확인

 

-e (edit user's crontab), crontab 내용 입력/수정

-l (list user's crontab), 현재 로그인한 user의 cron 목록 조회

-r (delete user's crontab), ctontab 내용 삭제

-i (prompt before deleting user's crontab), crontab 내용 삭제 전 확인 문구 띄우기

-u : 특정 user의 crontab을 설정할 때

 

적용 후 restart

service cron restart
service crond restart  // cron이 재시작되지 않을 경우

 

Server에 하드웨어 정보 확인

dmidecode(Desktip Management Interface) 사용

: 서버의 모든 하드웨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시스템 정보가 모두 출력됨

 

/opt 폴더 내 서버 정보 폴더명 확인 가능 (e.g., HP, Dell)

/proc/version 파일 내 Linux version, Ubuntu/CentOS 정보 확인 가능 (혹은 uname -a)

코드명(Codename) 확인(focal, bionic, ...)

lsb_release -c

 

yum: Redhat 계열

apt-get: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페도라 CentOS 데비안, 우분투 계열

 

 

[참고]

dmidecode

https://blessu1201.github.io/2020/08/10/serverhw.html

HP UX 시스템 정보 및 점검 명령어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ymne&logNo=221260066306 

 

 

728x90
728x90

'Developmen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기본 시스템 명령어  (0) 2023.01.10
[SSH] ping test smtp  (0) 2022.11.14
[Github] 기초 사용법  (0) 2022.11.08
[SSH] 리눅스 서버 원격 접속  (0) 2022.11.07
[리다이렉션] Linux File Descriptor  (0) 2022.1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