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목차
1.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40호 (230609)
2. 과기정통부, 챗지피티 등 생성형 인공지능 보안 위협 대응방향 본격 논의 (230613)
3. 과기정통부 누누티비2에 더 신속 강력 대응 추진 (230618)
4. 보이스피싱 예방과 근절을 위한 중앙전파관리소-강원경찰청 간 업무협약 체결 (230620)

1.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40호 (230609)

(출처: S&T GPS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간행물, 240호)

 

미국, 생성형 AI와 저작권법에 관한 보고서 발표

  • 저작권법이 생성형 AI가 제작하거나 사용하는 콘텐츠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검토한 보고서 발표*(23.5.)
  • 최근 ChatGPT 등 생성형 AI의 사용 확대에 따라 생성형 AI의 저작권에 관한 법적 문제가 제기, 의회는 관련 입법 조치의 필요성을 고려
  • 생성형 AI 출력물에 대한 저작권 인정 여부, 인정 시 저작자 귀속 대상
  • 생성형 AI 학습 과정에서 다른 저작물의 저작권 침해 여부, 기존 저작권 침해 가능성 및 침해 시 책임 대상

2. 과기정통부, 챗지피티 등 생성형 인공지능 보안 위협 대응방향 본격 논의 (230613)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정보보호기획과 임재현 사무관(044-202-6441))

230614 조간 (보도) 과기정통부, 챗지피티 등 생성형 인공지능 보안 위협 대응방향 본격 논의.pdf
0.46MB
  • 챗지피티를 악용하여 악성코드, 랜섬웨어, 피싱메일 제작 등 사이버공격에 활용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음
  • 챗지피티 이용 과정에서 개인정보 및 기업의 영업 기밀 정보가 유출되는 등 보안 문제가 대두됨
* 다크웹 등에서 챗지피티를 사용하여 새로운 악성코드 등을 제작할 수 있는 사이버공격 도구를 생성했다는 시도 발견 보고(checkpoint 社, ‘23.1월)

이상근 고려대학교 교수, '챗지피티 기술의 진화, 그리고 사이버보안'

  • 챗지피티 등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동향
  • 생성형 인공지능의 한계와 보안 위협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대비한 심층 연구 필요성

정일옥 이글루코퍼레이션 기술위원, ‘챗지피티 등 인공지능이 보안 산업에 미치는 영향’

  • 국내외 인공지능 활용한 사이버보안 산업 동향 분석
  • 인공지능을 접목한 사이버보안 위협·탐지 기술의 성장 가능성 발표
  •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과 챗지피티를 연계하여 사이버 위협 정보를 판단하는 보안 솔루션을 시연

김정희 한국인터넷진흥원 미래정책연구실장은 ‘챗지피티의 보안위협 동향분석 및 대응방향‘

  • 디지털 체계(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보안 위협 대응 현황
  • 생성형 인공지능를 통한 보안위협 현황 및 사례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의 보안위협 예방을 위한 대응방안

3. 과기정통부 누누티비2에 더 신속 강력 대응 추진 (230618)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OTT활성화지원팀 윤영인 사무관(044-202-6531))

230618 즉시 (보도) 과기정통부 누누티비2에 더 신속 강력 대응 추진.pdf
0.11MB

  •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콘텐츠를 불법 스트리밍하던 '누누티비'가 종료된 지 2개월여 만에 최근 유사 사이트인 '누누티비 시즌2'가 개설
  • 작년 12월부터 국내 OTT 업계,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 한국전파진흥협회(RAPA)와 함께 주기를 단축하며 불법서비스를 차단하는 노력 끝에 지난 4월 '누누티비'의 서비스 종료를 이끈 바 있음

* KT, SKB, SKT, LGU+, 드림라인, 삼성SDS, 세종텔레콤, KINX 등 8개사

  • 현재는 불법 사이트 탐지·대응이 인력 투입에 기반한 수작업 중심으로 이뤄짐
  •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인공지능(AI)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신규 및 대체 불법사이트 탐지·채증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

4. 보이스피싱 예방과 근절을 위한 중앙전파관리소-강원경찰청 간 업무협약 체결 (230620)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중앙전파관리소 전파보호과 김세한 사무관(02-3400-2330))

230620 조간 (보도) 보이스피싱 예방과 근절을 위한 중앙전파관리소-강원경찰청 간 업무협약 체결.pdf
0.24MB

  • 중앙전파관리소(김정삼 소장)는 619(오후 2시 강원경찰청 회의실에서 강원경찰청(김도형 청장)과 보이스피싱 예방과 근절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 통신사업자 현황 등 통신서비스 관련 자료 강원경찰청의 보이스피싱 수사 요령(노하우) 결합하여 날로 지능화되고 있는 보이스피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련됨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양자 치환 구현 시스템 (230510)
2. 양자경제를 향한 산학연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한 제2회 양자과학기술 최고위 전략대화 개최 (230510)
3. 주요 정보통신사업자 사이버 보안체계 점검 및 역량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230509)
4. 과기정통부, 에스케이티(SKT)에 5세대(5G) 28GHz 대역 할당 취소 사전 통지 (230512)

1. 양자 치환 구현 시스템 (230510)

(출처: ITFIND, 주간기술동향 2091호, 서울대학교 김태현 교수(02-880-1725, taehyun@snu.ac.kr))

230510_IITP 양자 치환 구현 시스템.pdf
0.28MB

  • 목적: 장거리에서 떨어진 양자 노드 간의 양자 암호 통신이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양자 인터넷 및 양자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양자 리피터 구현에 필수적인 양자 치환 시스템 개발

중계 양자 노드를 이용한 서로 떨어진 양자 노드 사이의 양자 얽힘 치환 개념도

  • 단거리 및 장거리에서 두 171Yb 이온 간의 양자 원격 이동 기술
  • 3개 노드 양자 치환 기술

2. 양자경제를 향한 산학연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한 제2회 양자과학기술 최고위 전략대화 개최 (230510)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양자기술개발지원과 우명순 서기관(044-202-6872))

230511 조간 (보도) 양자경제를 향한 산학연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한 제2회 양자과학기술 최고위 전략대화 개최.pdf
0.88MB

  • 중장기 양자과학기술 발전 방향과 한-미 양자협력 후속조치 등 논의
  • 국내 두 번째 양자대학원으로 "카이스트" 협력체(컨소시엄) 선정
  • 산업계가 참여하여 양자컴퓨터 활용 연구, 첨단 양자감지기(센서) 개발도 본격 추진

 

 
 

3. 주요 정보통신사업자 사이버 보안체계 점검 및 역량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230509)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사이버침해대응과 정준환 사무관(044-202-6465))

230510 조간 (보도) 주요 정보통신사업자 사이버 보안체계 점검 및 역량 강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pdf
0.52MB

주요 정보통신사업자 사이버 보안체계 점검 및 역량 강화 방안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 박윤규 제2차관은 5월 9일(화) 케이티(KT) 과천타워에서 주요 정보통신사업자(ISP),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 전문가, 유관기관 등과 함께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연속 현장 간담회(제1차*)를 개최하였다.

* ISP 보안 대응체계 점검, R&D 방향, 제로트러스트 도입 등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주제별 연속 현장 간담회 개최 예정(5월~6월, 약 5회)

개요

  • (일시/장소) ’23. 5. 9. 14:00~15:30 / KT 과천타워(보안관제센터 보유)
  • (참석자) 인터넷서비스 제공 중인 주요 정보통신사업자(6),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2), 전문가(3), 유관기관, 과기정통부 제2차관 등 17명
  • (주요내용) “주요 사이버공격 분석 및 대응 사례”, “사이버보안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대응 방향” 주제발표 후, 자유토론
  • 디지털 블랙아웃 예방 위해 주요 사업자의 사이버 보안체계 확인 점검
  • 디지털 핵심 기반 '인터넷 서비스' 사이버 보안체계 고도화 방안 논의

4. 과기정통부, 에스케이티(SKT)에 5세대(5G) 28GHz 대역 할당취소 사전 통지 (230512)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전파기반과 김인 사무관(044-202-4957))

230512 즉시 (보도) 과기정통부, 에스케이티(SKT)에 5세대(5G) 28GHz 대역 할당취소 사전 통지.pdf
0.24MB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이하 ‘과기정통부’)는 에스케이티(SKT)에 대해 5세대(5G) 28㎓ 주파수 종료시점 이행점검을 실시하고 할당취소 처분을 사전 통지
  • 지난해 12월 23과기정통부는 2018년 5세대(5G) 주파수 할당 시 부과받은 조건을 이행하지 못한 에스케이티(SKT)에 대해 28㎓ 주파수 이용기간을 10% 단축(5→4년 6개월)하고이용기간이 종료되는 23.5.31까지 당초 할당 조건 15,000 장치를 구축하지 못할 경우 할당이 취소됨을 최종 통지한 바 있음

 

728x9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