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목차
1. 2022년 올해의 최석정상 수상자 선정 (221213)
2. 2022년 11월 정보통신기술 수출입 동향 (221214)

3.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23~2027) 발표 (221214)
4. 2022년 하반기 사이버 위기대응 모의훈련 결과 및 상시 모의훈련 플랫폼 확대 개편 (221215)

1. 2022년 올해의 최석정상 수상자 선정 (221213)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미래인재정책국 과학기술안전기반팀 김형수 팀장(044-202-4850), 남민우 사무관(044-202-4858))

  • 서울대학교 강명주 교수, 한국과학기술원/기초과학연구원 엄상일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황형주 교수 선정
  • 올해의 최석정상: 조선시대 학자, 정치가, 문인이었던 최석정의 수학적 업적을 기리고자 '21년 신설
  • 수학 발전 및 활용(산업수학, 인공지능, 빅데이터 포함), 수학문화 확산에 기여한 과학기술인을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상 수여

편미분방정식의 해를 컴퓨터로 구하는 연구 수행 (강명주 교수)

수학을 응용하여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고, 4차 산업의 기반이 되는 수학적 이론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겠다.

  • 영화에 활용되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고도화에 기여
  • 수학적 영상처리를 통해 반도체의 결함을 검출
  • 의료영상분석을 통해 병명을 찾아내는 연구 수행

선이 많고 촘촘한 그래프에서도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개념들을 고안하는 연구 수행 (엄상일 교수)

국가와 사회의 여러 성원 덕분에 좋아하는 연구에 즐겁게 몰입할 수 있었음에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이산수학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를 통하여 성원에 보답하겠다.

  • 이산수학 분야를 대표하는 연구자
  • 기존 그래프 이론 개념의 한계 극복,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개발한 공로 인정

철강 제조공정에 수학을 활용한 온도예측 인공지능 솔루션 적용 (황형주 교수)

조선의 융합인재로 꼽히는 최석정 선현을 기리는 상을 받아 영광

앞으로도 응용수학 연구를 통해 수학을 활용하여 산업과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원가 절감에 기여
  • 코로나19 확산예측 모형을 개발하여 방역 정책 수립에 기여
  • 수학에 기반을 둔 인공지능 기술혁신을 통해 산업과 사회문제를 해결한 공로 인정

2. 2022년 11월 정보통신기술 수출입 동향 (221214)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정보통신산업정책관 정보통신산업정책과 강도성 과장(044-202-6220), 김미정 주무관(044-202-6228))

  • (품목별) 세계 경기 여건 악화의 영향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컴퓨터·주변기기 등 주요 품목 감소
  • (지역별) 전방산업 수요 위축 및 정보기술 기기 생산 축소 등으로 주요 지역인 중국(홍콩 포함), 베트남, 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 감소

3.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23~2027) 발표 (221214)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과학기술정책국 과학기술정책과 임요업 과장(044-202-6720), 윤지영 사무관(044-202-6727))

  • 국가연구개발 전략성 강화, 민간 중심 혁신생태계 조성, 과학기술 기반 국가적 현안 해결을 주요 방향으로 반영
  • 과학기술혁신이 선도하는 담대한 미래를 비전으로 기본계획 설정

전략성 강화

임무중심 연구개발(R&D) 혁신체계 구축

  • 국가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임무와 달성 시한을 설정

민간 중심

민간이 중심이 되는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를 조성

  • 국가 연구개발 전략의 기획, 투자 모든 단계에 기업의 수요가 반영될 수 있도록 민관 협의체를 상시 운영

현안 해결

국가 생존에 직결되는 미래 도전과제에 선제적으로 대응

  • 탄소중립, 디지털전환, 재난/위기 등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국가의 경제·사회적 현안을 해결

4. 2022년 하반기 사이버 위기대응 모의훈련 결과 및 상시 모의훈련 플랫폼 확대 개편 (221215)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사이버침해대응과 설재진 과장(044-202-6460), 김승열 사무관(044-202-6461))

  • (해킹메일 대응 훈련) 281개사 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내부 보안담당자나 거래업체에서 발송한 것처럼 위장한 해킹메일을 발송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및 복구 점검) 55개사 기업 누리집을 대상으로 실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수행
  • 기업별 탐지/대응시간 측정하여 대응능력 점검 - 평균 탐지시간: 12분, 대응시간: 24분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과학기술&ICT 정책·기술동향 226호 (221111)
2. 2022년 10월 정보통신기술 수출입 동향 (221114)
3. 5세대 이동통신 주파수 할당조건 이행점검 결과 (221118)

1. 과학기술&ICT 정책·기술동향 226호 (221111)

(출처: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S&T GPS, 간행물)

  • 국제기구(OECD)의 지식재산권 논의 사례
  • Gartner, 2023년 주목하는 10대 전략기술 트렌드 발표

2023년 기술 트렌드는 ‘최적화(Optimize)・확장(Scale)・선도(Pioneer)’로 귀결

 

Gartnet Top Strategic Technology Trends 2023


2. 2022년 10월 정보통신기술 수출입 동향 (221114)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정보통신산업정책관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 강도성 과장(044-202-6220), 김미정 주무관(044-202-6228))

  • 세계 경기 여건 악화로 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주변기기는 감소
  • 휴대폰 수출은 고부가가치 부분품 중심으로 증가 지속

2. 5세대 이동통신 주파수 할당조건 이행점검 결과 (221118)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전파정책국 전파기반과 남영준 과장(044-202-4950), 김인 사무관(044-202-4957))

  • 3.5㎓ 대역의 경우 모든 사업자가 할당 조건을 이행한 것으로 평가(3개 사업자 모두 70점 이상)
  • 5세대(5G) 28㎓ 대역에스케이티는 이용기간 단축, 엘지유플러스와 케이티는 할당 취소 통지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국제해킹대회 코드게이트 2022 결과 (221108)
2. 디지털 대한민국 ICT 표준화로 연결 (221108)

1. 국제해킹대회 코드게이트 2022 결과 (221108)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정보보호기획과 박준국 과장(044-202-6440), 박태성 사무관(044-202-6448))

  • 2008년 시작되어 올해로 14번째 대회를 맞는 국제 해킹방어대회 코드게이트 2022
  • 1위 - 일반부: 한국의 The Duck 팀 / 대학생부: 한국과학기술원(KAIST) GoN 팀 / 주니어부: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허승환
  • 국제 보안 학술회의에서 "새로운 시대, 새로운 위협 : 사이버보안 전략 개편"이라는 주제로 강연

2. 디지털 대한민국 ICT 표준화로 연결 (221108)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정보통신산업정책관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 윤두희 과장(044-202-6230), 김민정 사무관(044-202-6234))

  • '글로벌 ICT 표준 컨퍼런스 2022(GISC 2022, Global ICT Standards Conference 2022)' 개최
  • 정보통신기술(ICT) 표준은 산업과 산업, 기술과 기술간의 융합과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
  •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의 6대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국제표준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

 

728x90
728x90
728x90
반응형
목차
1. 2022년 8월 정보통신기술 수출입 동향(220916)
2. 공격 표면 관리 개념과 최소화 방안 동향(220914)
3.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22호 (220916)

1. 2022년 8월 정보통신기술 수출입 동향 (220916)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정보통신산업정책관 정보통신산업정책과 김민표 과장(044-202-6220), 김미정 주무관(044-202-6228))

  • 글로벌 경기 여건 악화로 인한 IT 수요 둔화가 지속되며 주요 품목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컴퓨터‧주변기기, 휴대폰은 동시 감소
  • 주요 5개국 중 유럽연합은 증가중국(홍콩 포함)베트남미국일본은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 및 IT 기기 생산 축소 등의 영향으로 감소

2. 공격 표면 관리 개념과 최소화 방안 동향 (220914)

(출처: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주간기술동향 2063호, 국방통합데이터센터 국경완 실장(070-4872-6200, kugstone@naver.com))

  •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은 클라우드의 전환을 가속화
  • 가트너 보고서에 의하면 공격 표면 위험관리(attack surface risk management)가 잠재적 기술의 상용화 가능에 대한 관심이 큼

<자료> Gartner, &ldquo;Gartner&rsquo;s Hype Cycle for Security Operations,&rdquo; 2021. 7.

가트너가 발표한 "Innovation Insight for Attack Surface Management" 보고서에 따르면, "공개 디지털 자산의 확장과 클라우드 인프라의 사용 증가로 인해 기업 IT가 더욱 분산됨에 따라 조직의 공격 표면 관리를 시각화하고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고 언급함

공격 표면 최소화 방안

  • 제로 트러스트 모델(Zero Trust Model)
  • 공격 표면 가시성 증가(Increase your attack surface visibility)
  • 복잡성 제거(Complexity Elimination): 최소 권한 액세스 원칙 사용
  • 지속적이고 가속화된 정찰(Continuous & Accelerated Reconnaissance)
  • 네트워크 세분화(Network Segmentation): 특정 영역 주위에 경계를 설정하고 타 섹션으로의 액세스 제한
  • 직원 교육(Employee Training & Education): 사이버 보안 인식 교육

3.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22호 (220905)

(출처: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S&T GPS,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22호)

  • 미국, 전력 그리드망 보호를 위한 사이버보안 기술 투자 방안 발표
  • 미국, 반도체 및 과학법 추진을 위한 행정명령 발표
  • 디지털 경제·사회 디딤돌 될 '디지털플랫폼정부' 이행 본격화
  • 중저가 반도체 및 EDA 툴 투자 확대하는 중국, ‘반도체 굴기’ 가속

 

 

728x90
728x90

+ Recent posts